- Published on
2024 회고
- Authors
- Name
- CDD
서론
다사다난했던 2024년이 어느덧 마지막을 향해 달려가는군요. 한강의 노벨 문학상, 지드래곤 컴백, 비상 계엄 등 정말 다양한 이슈들이 있었습니다. 하지만 이 글에서만큼 제일 중요한 것은 제가 얼마나 목표한 것을 이뤘는지, 그리고 얼마나 많이 성장했는지인 것 같습니다. 자, 그러면 짧은 서론과 함께 글 시작해보겠습니다.
올해 이룬 것들
사내 서비스 개발 총괄
1년차 개발자가 이야기 하는 것 치곤 많이 건방진 이야기이긴 한데, 회사 사정 때문이라 어쩔 수 없었습니다. 올해 초부터 시작해서 새로운 서비스 런칭을 위해 개발을 진행했었는데요, 이게 꽤나 큰 프로젝트였습니다. 흔치 않은 아키텍쳐 구조와 이와 관련된 여러가지 이슈들을 혼자 처리하게 되면서 공부를 엄청 했던 것 같아요. 배포를 위한 패키징, 최적화를 위한 번들링 개선 등 다양한 이슈들을 처리해왔습니다.
선임 개발자 없어?
예, 아쉽게도요. 회사 상황이 힘들어서 그런지 선임 개발자의 퇴사는 곧 신입 개발자의 입사로 이어지게 되고, 정신을 차려보니 저보다 위에 계시는 개발자 분들이 사라져버렸습니다. 뭐, 이전까지도 총괄 개발 느낌으로 진행하긴 했는데, 선임 개발자 분의 퇴사와 함께 본격적으로 모든 이슈들을 총괄하며 개발하기 시작했었습니다.
주변 개발자들로부터 인정 받기
이번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가장 뿌듯했던 것은 주변 개발자들로부터 인정을 받았다는 것입니다. 사실 이전까지는 신입 개발자이기도 하고 활약을 많이 못했었기도 했는데, 이번 프로젝트에 대한 기여도 만큼은 자신이 있었습니다. CTO
님의 추가 기능 요구사항들도 곧바로 적용했고, 아키텍쳐 및 패키징에 대한 요구사항들도 빠르게 처리했었죠. 이러한 노력들 때문인지 회의에서 칭찬을 듣기도 했고, 만들어 낸 문서가 모범답안으로 평가되어 다른 개발자 분들의 참고자료가 되기도 하였습니다.
개발 실력 향상
사실 올해는 살면서 가장 많은 지식이 늘었던 해이기도 합니다. 2024년 1월 1일 기준 저는 고작 2개월차 프론트엔드 개발자였고, 그때까지만 해도 고작 커스텀 훅조차 제대로 만들 줄 모르는 햇병아리였습니다. 그래도 역시 현업에서는 일주일 40시간 강제로 코딩을 하는 것이다보니 실력이 빨리 늘 수 밖에 없는 것 같습니다. 이제는 원하는 컴포넌트들을 만들어내는 것은 물론 리팩토링에도 관심이 생겨 사내 서비스들의 로직들을 다양한 방법들로 개선하고 있습니다.
종종 사내 서비스 코드를 리팩토링 하며 몇 개월 전 코드를 뜯어보곤 하는데요, 그럴때마다 아, 내가 왜 이런식으로 코드를 짰을까?
라는 생각이 들 때가 많습니다. 그래도 이런 생각이 든다는 것은 성장하고 있다는 증거겠죠.
토스 개발자 챌린지
올 9월 토스 개발자 채용에 참여했었습니다. 사실 작년에도 참여했었는데, 그때는 정말 아무것도 모르는 프론트엔드 병아리라 과제 테스트에서 아무것도 못하고 떨어졌습니다. 생각해보니 컴포넌트 만들기에 급급해서 정신이 없었고, 테스팅 코드의 존재조차 몰랐어서 그냥 희망 자체가 없었습니다.

다만 올해는 좀 성장했다는 느낌이 들었던 게, 1차로 있었던 코딩 테스트에 합격하고 2차로 진행되는 과제 테스트에서 꽤나 괜찮은 결과를 얻었다는 것입니다. 물론 최종적으로는 떨어졌지만, 테스트 케이스에 대한 결과가 그리 나쁘지만은 않았고 작년보다 훨씬 체계적으로 문제를 풀어나갔다는 것이 가장 큰 차이점인 듯합니다.
사이드 프로젝트
꽤나 많은 사이드 프로젝트에 손을 대었는데요, 포기한 것도 있고 진행 중인 것도 있어서 리스트업 해보겠습니다.
1. `라멘로드` 프로젝트 진행중
- 개발자 커뮤니티 멤버들과 하는 팀 프로젝트
2. `깔롱스` 프로젝트 진행중
- 사내 개발자분들과 진행하는 팀 프로젝트
3. `Meal Compass` 프로젝트 진행중
- 개인적으로 진행하는 프로젝트
4. `hipzip` 프로젝트 포기
현재 진행 중인 프로젝트들 같은 경우 진행도가 꽤나 높아서 배포를 앞두고 있는 상황이고, 3번 같은 경우 이미 배포를 완료한 상태이기도 합니다. 사실 1, 2, 3번 프로젝트 모두 올해 하반기, 그것도 9월 이후부터 시작한 프로젝트들인데요, 포트폴리오에 대한 욕심이 커져서 여러 프로젝트들을 동시에 진행하게 되었습니다.
개발자 블로그 개설
사실 예전부터 플랫폼에 종속되지 않은 자체 블로그를 개설하고 싶었는데, 올해 6월 개설을 완료했습니다. 현재는 MDX
확장자 기반으로 문서를 작성하고 있으며, 노션을 이때까지 쭉 써왔어서 그런지 포스팅을 하는 데에 대한 거부감이 없어서 지속적으로 글들을 작성할 수 있었던 것 같습니다. 내년에는 더 많은 글들을 작성할 예정이며, SEO
나 개발자 네트워크도 좀 더 신경쓰면서 블로그를 다채롭게 만들려고 합니다.
2024 소감
개발자로써의 큰 성장이 있었던 한 해였긴 합니다만 사실 직장으로 인한 스트레스가 좀 많이 컸던 것 같습니다. 올해 중순부터 선임 개발자 분들이 하나 둘 씩 떠나게 되면서 프로젝트 총괄을 하게 되었는데, 물론 이로 인해 이뤄낸 것들도 많지만 그만큼 스트레스도 많이 받았던 것 같습니다. 제 손에서 탄생한 프로젝트가 미국 서버에 올라가게 되면서 미국의 주간 시간(한국의 새벽 시간)에도 이슈 대응을 할 정도로 열심히 했었는데, 이에 대한 보상도 없고 오히려 앞으로 진행될 사업에 대한 재촉이 이어지더군요.
회사 상황이 힘들어져서 인력 충원도 힘들 것 같은 상황임에도 여전한 대우와 늘어나는 퇴사자 분들 때문에 맨탈 잡기가 많이 힘드네요. 강압성을 아주 조금 줄이고 직원들의 의견을 아주 조금만이라도 질문하고 반영해주셨다면 맨탈은 잡혔을 것 같아요. 이러한 이유들로 이직에 대한 생각이 점점 확고해지는 것 같습니다.
2025 목표
성공적인 이직
제 다음 직장 워너비에 대해 좀 작성해보겠습니다.
- 선임 개발자과 함께 일하고 싶어요
- 현 직장에서는 선임 개발자가 아예 존재하지 않아서 독학으로 학습하고, 이를 프로젝트에 반영하는 식으로 개발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앞으로의 개발에 대한 방향성이나 이슈 해결에 대한 다양한 경험등을 가진 선임 개발자, 시니어 개발자 분들과 함께 일하고 싶습니다.
- 잠재성 있는 회사
- 저는 주말에도 회사 코드를 뜯어볼 정도로 개발에 대한 열정이 있는데요, 이러한 노력을 맘편히 쏟을 수 있는 잠재성 있는 회사였으면 좋겠습니다.
- 회사가 잠재성이 있고, 직원들도 회사를 신뢰하게 된다면 분위기 좋고 열정 넘치는 업무 환경에서 일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 복지
- 현 직장은 복지가 거의 없어서 그냥 뭐라도 있으면 좋겠습니다.
- 점심 식대라도 지원된다면 더할 나위 없이 좋을 것 같네요.
- 유저수
- 아무래도 웹 개발자라 유저나 트래픽이 중요할 것 같은데, 고객들에게 다양하고 많은 피드백들을 받아가며 다양한 시각에서의 서비스를 개발하고 싶습니다.
사이드 프로젝트 완성
목표로 하는 내년 상반기 사이드 프로젝트 완성도입니다.
라멘로드
프로젝트 완성- 사실 완성에 가장 가까운 프로젝트이긴 한데, 경험 있는 개발자분들과 협업하는 거라 별 탈 없이 끝날 것 같긴 합니다.
깔롱스
프로젝트 완성- 규모가 제법 크고, 난이도 있는 프로젝트일 것 같아서 열정을 잃지 않고 개발하는 것이 중요할 것 같습니다.
- 계속해서 팀원분들에게 동기부여를 해주고 단계적으로 성취감을 느낄 수 있도록 개발 단계를 짜는 것이 중요할 것 같습니다.
- 3월 런칭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 완성 시 가장 뿌듯할 것 같은 프로젝트 일 것 같습니다.
Meal Compass
프로젝트 고도화- 1월에 사내 슬랙을 통해 회사 분들에게 공개할 예정입니다.
- 추가적으로 직원분들을 통해 데이터를 보충하고 요구사항을 받을 예정입니다.
- 댓글 기능을 추가하고, 더 많은 데이터를 수집하여 사용자들에게 제공할 예정입니다.
여자친구 만들기
이번 크리스마스는 너무 외로웠으니 내년에는 꼭..!